카테고리 보관물: Interactive Advertising PR

Experience of the product – Advertisement philosophy of ‘Apple’ (제품을 통한 경험 – 애플의 광고 철학)

Numerous companies and organizations are conducting ‘advertisement’. The main purpose of advertisement is – to sell their products. For this reason, companies are highlighting the advantages of their products to attract more consumers.

Some companies are appealing their technology. Some companies are emphasizing history. Some companies are relying on the emotional appeals. ‘Apple’ which is well known American multinational technology company, delivers ‘company philosophy’ through advertisement.

This is the company advertisement made by Apple in the year of 2013. Through this advertisement, Apple tries to focus on highlighting company’s own philosophy which is “experience”. Before 2013, Apple published several TV advertisement emphasizing digital technology of their own products. However, Started from this advertisement, Apple started making advertisement to inform their philosophy not the technology itself to public.

Attached commercial describes the people’s lives which are closely related to the products developed by Apple. A woman listening to music through i-pod, Asian children getting education by I-pad, couples taking selfie by using i-phone, musician using Mac-book, and a man video calling to his wife to show exotic food appear in this commercial. Through narration, the commercial highlights that the ‘important thing is – experience’ which is close to the business philosophy of Apple.

애플_매니페스토

This is printed advertisement which is also published by Apple in 2013. This commercial also emphasizes that the company matters the experience derived by the products. These advertisements are not outlive celebrities, or the innovative technologies the company developed. Rather than, Apple only focuses on the ‘philosophy’ they maintained.

Started from the year of 2013, Apple has been publishing commercial containing their business philosophy, ‘experience’ continuously. Due to this consistency and stability, Apple has formed brand identity among public which became the main power and competitiveness within the digital marketing field.

There is another popular commercial which contained values of ‘experience’ that Apple can offer to users. This is TV advertisement conducted by Apple in the year of 2014. Especially this campaign was meaningful for being a cornerstone of Apple’s advertisement history. There are two points that we need to consider.

First, the commercial is focusing on the experience of users rather than the product and technology itself so that public can concentrate on the individual stories. Second, it also delivers the values and philosophy which can be provided to the target audience. By capturing a few of the moments that people use I-pad every day, the advertisement tries to inspire the potential users and make actual stakeholders satisfy with the products and brand itself.

However, this is not the only theme for Apple’s advertisement. To make a variation, Apple also publish advertisement with emphasis on personal ‘experience’ and ‘business value’ through seasonal commercial. Christmas, is the perfect season to highlight the shared values and experience among the users.

 

 

Two commercial above, published in 2015 and 2013 individually, contain the value of ‘experiencing’ through Apple’s products. Along with the seasonal atmosphere, the commercials are emphasizing ‘family’ at the same time. Relying on the emotional appeal, Apple do not miss implying the business philosophy. Both of these Christmas commercials are delivering value of love, share, and empathy based on the common experience based on the products provided by Apple.

Apples’ commercial is considered as one of the most influential, memorable, meaningful, and inspiring ones in the field. I think this power and brand identity comes from the consistent message which delivers business philosophy.

References

Allsundae (2013, 07, 01). 애플 – 우리의 서명 [비디오] https://www.youtube.com/watch?v=lOOgID1TPSM

Apple fan (2014, 01, 14). Apple – Ipad Air – TV Ad – Your Verse https://www.youtube.com/watch?v=BlBomhIWi3c&list=PLv59apXhSInpzfuMnKXlqyqY_lg1AwFXT&nohtml5=False

Be creative lab (2013, 07, 04). 중요한 건 제품이 주는 경험 http://becreativelab.com/archives/155900

Silvesnow (2013, 12, 17). Apple iPhone Christmas Commercial 2013 .

https://www.youtube.com/watch?v=v76f6KPSJ2w&nohtml5=False

StevieWonderVEVO (2015, 12, 21). Stevie Wonder, Andra Day –Someday At Christmas https://www.youtube.com/watch?v=LUJ8Yp3EDBI

Creative Age has Arrived :Contents trend

국내 스마트폰 사용 인구 4000만(2014년 통계청 자료 기준)을 넘어선 지금 콘텐츠는 다양한 형태로 소비되고 있습니다. 사진, 텍스트, 동영상을 넘어 소비자들과의 소통을 필요로 하는 인터랙티브 콘텐츠까지 콘텐츠 시장은 갈수록 확장되고 있는데요. 오늘은 우리의 손을 붙잡는 마성의 콘텐츠, 그 트렌드에 대해 살펴보려 합니다.

소셜미디어 초창기에는 페이스북 등에 기업 페이지가 많지도 않았고, 채널 자체가 신기하고 새로운 현상이었다. 하지만 이제는 워낙 많은 콘텐츠들이 쏟아져 나오면서 이용자들이 웬만한 콘텐츠에는 반응하지 않는다”                        – 서영우 리앤컴 PR팀장

기존 미디어는 송신자가 송신하면 볼 수밖에 없는 구조였는데, 디지털은 소비자들에게 선택권이 있다”며 “스킵이 쉽고, 면적도 TV에 비해서 작다보니 최대한 집중도를 높이고 재미있게 만들어 보게끔 만들어야 한다”                       – 서기환 애드쿠아인터렉티브 국장

1     2

누구나 콘텐츠 생산자가 되고 소비자가 되는 디지털 환경 속에서 콘텐츠의 양은 폭발적으로 늘어났습니다. TV, 신문과 같은 전통매체에서 벗어나 콘텐츠를 널리 퍼뜨릴 수 있다는 건 굉장히 매력적인 일이지만, 이 수많은 콘텐츠의 바다 속에서 내 브랜드와 콘텐츠를 돋보이게 하는 것 또한 어려워졌습니다. 그렇기 때문에 더욱더 높은 퀄리티의 콘텐츠를 생산해내는 것이 불가피해졌습니다.

이렇게 질 좋은 콘텐츠를 만들기 위해 많은 인력, 자원이 투입되지만 정작 이용자들의 콘텐츠 소비 주기는 점점 짧아지고 있습니다.  고작 8초. 디지털 세상에서 소비자가 콘텐츠에 관심을 기울이는 시간입니다. 그렇기에 사람들의 시선을 사로잡는 포인트는 되도록이면 앞에, 시선을 사로잡은 후 메인 메시지를 중간에 배치한다고 합니다. 또 콘텐츠의 길이도 계속해서 짧아지고 있다고 하네요.

Instagram

다음은 SNS의 대세로 손꼽히는 인스타그램입니다. 불과 몇 년 전만 해도 포스트 페이스북 채널로 주목받고 있었는데요, 지금은 당당하게 SNS를 주도적으로 이끌고 있습니다. 과거 인스타그램의 주 이용층은 20대 여성들이었는데요, 그 범위가 점점 확대되면서 인스타그램 측은 이 트렌드에 발맞춰 콘텐츠의 제약이 되었던 정방형 비율의 사진 업로드를 수정해 보다 이용자들이 자유롭게 사진을 업로드할 수 있게끔 했습니다.

더불어 기업들이 하나 둘씩 인스타그램 채널로 모여들기 시작했다는 것을 볼 수 있는데요, 이에 따라 인스타그램에서도 스폰서 운영지침을 정해두고 정보를 제공하고 있습니다.

3

  

MCN (Multi Channel Network)

다음으로 MCN입니다. MCN은 멀티 채널 네트워크의 약자로, 1인 콘텐츠 제작자인 크리에이터들을 묶어서 관리 및 지원을 해주고 이들의 광고 수익의 일부를 나누는 사업 모델을 가리킵니다. 국내에서는 CJ E&M의 다이아 TV, 트레져헌터가 대표적이죠.

5

유투브나 아프리카 TV 등의 온라인 채널을 통해 많은 사람들이 이들이 만들어낸 컨텐츠들을 접해봤을 것이라 생각이 되는데요. 방송사업자들은 1인 크리에이터들에게서 방송의 미래를 엿보고, 광고계에서는 디지털 인플루언서(영향력자) 위치에 있는 이들을 통해 재미있으면서도 저렴한 비용으로 확산효과를 얻고자 하고 있습니다.

그리고 이들의 콘텐츠를 포함해 요즘 콘텐츠들은 간식을 먹듯 쉽게 즐길 수 있는 ‘스낵 콘텐츠’에 해당한다고 볼 수 있습니다. 대표적인 스낵콘텐츠 사례는 피키캐스트입니다. 피키캐스트는 간단한 생활 속 팁 등 정보 제공에서 시작해 지금은 사람들이 지하철에서 가장 많이 찾는 어플리케이션 중 하나죠. 가볍게 휴대폰만 켜면 보고 즐길 수 있는 콘텐츠들에 대한 수요가 급증한 것이죠. 이에 따라 메신저나 인터넷 서치웹들도 발맞춰 변화하기 시작했습니다. 카카오나 네이버가 그 예인데요. 카카오톡에서 시작된 다음카카오는 자체 채널을 만들어 영상콘텐츠를 생방송하거나 다른 생활정보들을 업로드하고 있고, 네이버 또한 V앱 서비스를 개시해 보다 많은 이용자들이 콘텐츠를 소비할 수 있는 환경을 제공하고 있습니다.

공공기관도 이러한 콘텐츠 트렌드에 발맞춰 톤앤 매너를 선보이고 있습니다. 위 영상은 2015년 8월 환경부가 공개한  ‘쓰레기도 족보가 있다’라는 공익광고입니다. 인기 영화 ‘스타워즈’의 명대사 ‘I’m your father’를 패러디해 많은 사람들의 웃음을 자아내었는데요. 천편일률적인 포맷을 따라 직설적인 메시지만을 그대로 담아내던 기존의 공익광고들과는 다르게 색다른 목소리에 공중들의 반응 또한 굉장히 긍정적이었습니다.

지금까지의 내용을 살펴보면 콘텐츠 산업에서는 눈길 끌기, 스피드가 중요하고 그 플랫폼 또한 끊임없이 변하고 있다는 사실을 알 수 있었습니다. 그럼에도 한가지 분명한 것은 콘텐츠의 영향력은 끊임없이 성장하고 있고, 앞으로도 그럴 것이다라는 것! 수많은 콘텐츠 이용자들 중 한 사람으로서 앞으로의 콘텐츠 시장은 어떻게 변화할 지 많은 기대를 남기며 글을 마칩니다.

Cookie Monster and Siri

Like every year Apple announces another iPhone at the end of the year. Last year it was the iPhone 6s its turn. They also released the bigger brother of the iPhone 6s called the iPhone 6s Plus. And like the previous generations, the lovely voice of Siri is still there. The only difference is that Siri, Apple’s voice assistance, which you can use hands-free since IOS 8, is now also available hands-free without having to charge the phone. To make people aware of this new function Apple invited our blue furry friend Cookie Monster from Sesame Street. I think they did a good job with this, because it doesn’t matter how old you are, you’ll always have a weak spot for the characters from Sesame Street. And besides that Cookie Monster is one of the favorite character’s word wide, for both adults and children. Apple is also fan from the blue, cookie addicted monster and decided to let him cooperate with Siri in their new campaign. In the video that Apple posted on their official YouTube channel you can see how Cookie Monster can’t wait to eat his homemade cookies. And before I’ll tell you how this hilarious advertisement ends I’ll (very) strongly recommend you to first watch the video below.

[1]

If you enjoyed watching this video, you might also be interested in the video Apple brought out recently which shows some funny parts behind the scene.

[2]

In the official campaign video Cookie Monster decides to make some cookies. Probably because of the fact he’s always hungry and his main dish is cookies. To bake some perfect cookies Cookie Monster puts the cookies excited in the oven and tells Siri to set the timer at 14 minutes. After almost a second Cookie Monster already asks Siri desperately to play a waiting playlist. After the waiting playlist starts, with Jim Croce’s “Time in a Bottle”, it’s very obvious that the hungry Cookie Monster starts to get bored. Especially when he starts to play with his oven gloves like they’re puppets and even tries to eat his own wooden spoon. The video behind the screens is also really cute and funny. These two aspects are also the key factors that make this advertisement so strong. In the basics it’s emotional marketing at its best. By retrieving happy childhood moments for millions of people and bring a smile to their face with this humorous tableau. And it aims to sell stuff too.[3] This seems to work, because the Apple Cookie Monster advertisement became the most-shared advertisement for the second week running with 109,233 shares that week. This was even more than twice as much shares as the number two advertisement that week.[4] And with more than 9,5 million YouTube views it can be said that this advertisement was a big success for Apple.

 

[1] Apple (2016). iPhone 6s – Timer. Accessed at April 16 2016, from https://www.youtube.com/

[2] Apple (2016). iPhone 6s – Timer – Behind The Scenes. Accessed at April 16 2016, from https://www.youtube.com/

[3] Koene, J. (2016). Emotional SEO: Finding your online Cookie Monster. Accessed at April 17 2016, from http://blog.searchmetrics.com/

[4] Degun, G. (2016). Campaign Viral Chart: Apple’s Cookie Monster ad holds on to top spot. Accessed at April 17 2016, from http://www.campaignlive.co.uk/

Lack of crisis management in entertainment business / 연예계 위기관리의 부재

급격하게 변화해 가는 현대사회의 영향으로 조직의 생존 전략 차원에서 PR 커뮤니케이션 중 위기관리에 대한 중요성이 부각되고 있다. 위기를 피해갈 수 없다면 피해를 최소화 시켜야 한다. 그렇기 때문에 위기에 대한 전문적이고 효과적인 관리 프로그램은 조직에 있어서 매우 중요한 부분이다.

연예산업과 소셜 미디어의 발전 등의 사회적 변화에 따라 연예인 사건사고의 종류는 더 덩치가 커지고 일반인들에게 상시적으로 노출되어 있다. 하지만 대부분의 연예 기획사들은 사건과 사고가 터졌을 때 ‘어떻게 대응하냐에 따라’ 스타의 희비가 엇갈림에도 불구하고 ‘어떻게 하면 스타를 더 많이 알려 행사와 CF 계약을 늘릴 수 있는지’등의 마케팅적 요소에만 많은 시간과 예산을 투자하고 있다. 위기관리 매뉴얼의 부재로 인해 대중의 사랑을 한 몸에 받던 인기 스타가 대중으로부터 외면당하게 되는 일이 비일비재하다. 위기관리 차원으로 신인 시절부터 소속 연예인의 사적인 생활을 통제하기도 하고 인터뷰하는 요령을 가르치기도 하지만 언제 닥칠지 모르는 수많은 위기를 예측하고 그에 대처하기에는 역부족이다.

1.연예계 상황분석

(1) 도덕적 이슈

대중은 하루가 멀다 하고 발생하는 스타들의 사건사고에 대한 실망감과 충격에서 헤어 나오지 못하고 있고 연예계의 도덕성과 신뢰도는 심각한 타격을 입었다. 심지어 빈번하게 발생하는 연예계의 비도덕적 사건으로 말미암아 ‘연예계가 그럼 그렇지, 뭐’ 라는 왜곡된 시선도 점차 설득력을 얻고 있다. 대중은 그것이 단순히 범죄를 저지른 연예인의 개인의 문제로 국한되지 않고 주변에 미치는 영향력이 상상 이상이라는 것을 알기 때문에 더욱이 예민하게 반응한다. 물론 스타도 인간이기에 실수 할 수도 있고 개인의 범죄보다 더 가혹한 잣대를 들이대는 것이 스타들은 억울하고 불편할 수 있다. 혹자는 대중이 연예인에게 너무 엄격한 도덕적 잣대를 들이대고 잘못에 대한 대가 또한 너무 가혹하다고 한다. 하지만 이 불편함은 대중이 ‘공인’인 연예인에게 보내는 사랑과 칭찬에 대한 대가이기 때문에 감수해야 하고 그것이 일종의 ‘유명세’ 라는 것이 대중의 시각이다. 따라서 연예인 스스로의 도덕적, 윤리적 책임의식과 도덕적 이슈에 대한 연예기획사의 체계적인 위기관리 프로그램이 그 어느 때보다 절실히 요구되는 시점이다.

(2) 온라인 미디어와 소셜 미디어의 발전

온라인 미디어와 소셜 미디어가 발전하면서 인터넷은 이제 무한대의 과거 저장소로 변모하고 있다. 즉, 이슈가 발생하게 되면 온라인 공간은 과거 저장소로 변모하여 불특정 다수가 그 이슈를 뒷받침 해줄 특정 정보를 재조합하고 다시 불특정 다수가 그것을 공유하면서 그 이슈가 재정의 되고 확산되는 경향을 띠고 있다. 재정의 된 정보에 따라 대중들은 해당 이슈에 대해 이전과는 다른 편견을 가지게 된다. 온라인 미디어와 소셜 미디어의 발전은 연예인과 주요 공중의 거리를 좁히고 그들의 사적인 공간과 공적인 공간의 구분을 희미하게 만들었다. 과거에도 연예인들은 사건사고를 몰고 다녔지만 그 중 많은 케이스는 루머로 떠돌아다니는 수준이었다. 하지만 현재는 연예인의 일거수일투족이 실시간으로 소셜 미디어를 통해 알려지고 기사화 되면서 그것의 파급력, 영향력이 막대해지게 되었다. 이젠 연예인이 개인 소셜 미디어 공간에 올린 글이 기사화 되고 그것이 전국에 알려지기까지는 한 시간도 채 걸리지 않는다. 예컨대 가수 아이유는 남자 아이돌과 사적으로 찍은 사진을 개인 소셜 미디어에 게시한 뒤 몇 분 지나지 않아 다시 삭제했음에도 불구하고 그것이 기사화 되어 큰 이미지 타격을 입었다. 연예인이 일으킨 사건 사고가 주요공중에게 훨씬 알려지기 쉬워지게 되면서 그들의 문제적 행동은 더욱 동시다발적으로 보이게 되었다. 즉, 연예계는 그야말로 365일 매일 새로운 이슈를 낳고 있다.

2.주요 위기관리 프로그램 문제 서술

연예인 스스로의 도덕적, 윤리적 행동에 대한 대중의 요구가 그 어느 때보다 강한 시기에 많은 연예인들이 그에 반하는 행동들로 실망스런 탄식을 자아내고 있다. 연예인들은 사회적 요구에 따라 좀 더 자기관리와 자기통제에 철저해야 한다. 어설픈 ‘포장’과 ‘마케팅’이 통하는 시대는 지났다.[1]

온라인 미디어와 소셜 미디어의 발전으로 대중과 팬들과의 상호작용이 활발해지고 그에 따라 이슈나 위기의 파급력이 나날이 커지고 있다. 그런데 문제는 사건사고를 몰고 다니는 연예인이 대중에게 노출될 수 있는 시스템은 필요 이상으로 발전해버렸지만 이 사건사고를 관리할 위기관리 시스템은 제자리걸음을 하고 있다는 데 있다. 심지어 안 하는 것만 못한 잘못된 위기관리 때문에 사건의 내용보다 오히려 왜곡되어 스타에게 회복할 수 없는 이미지 손상을 야기하기도 한다. 대부분의 연예기획사가 스타의 플러스적인 요인인 긍정적 이미지를 만드는 데에만 급급하지 이미지가 손상 입을 수 있는 마이너스적인 요인에는 소홀히 하고 있는 것이 사실이다.

스타산업은 애정산업이다. 한 명의 스타를 만들기 위해서는 많은 비용과 노력이 들지만 돌발적인 하나의 사건으로 대중이 등을 돌리는 것은 한 순간이다. 때문에 스타와 연예기획사는 긴장의 끈을 놓을 수 없다. 마케팅 전략과 마찬가지로 위기관리 전략 또한 중요하다는 것을 인식하고 도덕적 이슈, 위기를 전문적으로 관리할 수 있는 위기관리 프로그램 매뉴얼 수립이 필요한 시점이다

3.PR목표 및 관련된 주요공중

연예인에게 요구되는 도덕적, 윤리적 책임이 중요해짐에 따라 발생하게 되는 위기와 그것이 온라인 미디어와 소셜 미디어의 발달로 과거와는 비교할 수 없이 빠르게 확산되는 환경적 조건에 대응하기 위한 위기관리 전략이 필요하다. 연예인은 ‘한 명의 사람’이고 그가 하는 비즈니스는 ‘자신’이 가장 중요하고 유일한 생산자이다. 자신이 죽거나 연예인으로 활동할 수 있는 기회를 상실하면 바로 생산주체로서의 가치를 상실한다. 따라서 위기가 발생했을 때 위기관리의 목표는 연예계에서 ‘살아남는 것’, 즉 생존의 문제[2]이다.

팬덤과 연예 및 방송관계자들이 위기관리 프로그램의 가장 중요한 공중이다. 스타는 이미지를 먹고 산다 해도 과언이 아니다. 요즘엔 스타에게 긍정적 이미지를 구축해주는 것이 팬덤 문화의 주기능이 되고 있다. 수동적으로 바라보기만 했던 팬의 성향은 다양한 채널을 통해 쌍방향적이고 좀 더 능동적, 적극적 성향으로 바뀌게 되었다. 기획사가 CF를 많이 따낼 수 있는 소위 돈이 되는 스타 이미지를 만들기 위해 노력한다면 팬들은 수익성과는 별개로 장기적이고 건강한 스타 이미지에 발 벗고 나선다. 예컨대 가수가 음반을 내면 팬이 언론사, 방송사에 홍보 자료나 도시락 등을 돌리고 배우가 작품에 들어가면 현장 분위기를 위하여 밥차를 준비하는 것은 기본이 되었고 각종 기부 및 봉사 활동에 능동적, 장기적으로 참여하면서 스타의 사회적 긍정적 이미지 구축에도 적극적이다. 또한 엔터테인먼트 산업은 스타 이미지의 판타지를 상품화하고 판매함으로써 이윤을 창출하는데 그 문화상품의 주 소비자층이 팬이라는 측면에서도 팬은 위기관리 전략의 주요한 공중이라는 것을 알 수 있다. 요즈음 매우 효과적인 스타 홍보 방법은 인기 예능 프로그램 출연이다. 예능 프로그램에 출연해서 매력적인 캐릭터, 이미지를 얻어가는 것은 다른 홍보 전략보다 효과적이다. 위기관리의 실패로 부정적 이미지를 방송관계자들에게 각인시킨 다면 방송 프로그램 출연에 제제가 있을 수 있다. 연예사업의 수입 중 큰 부분을 차지하는 CF 측면에서도 미흡한 위기관리로 인한 부정적 이미지는 광고주가 광고 모델을 다른 연예인으로 교체하는 등의 제제가 가해질 수 있다. 따라서 위기관리 주요공중으로 방송관계자들을 고려하여 전략을 수립해야 한다.

4.연예계 위기관리 전략에 대한 대안

(1) 사후적 위기관리 매뉴얼 개발

각종 위기가 될 수 있는 소재가 다양해지고 그것의 확산 또한 미디어를 매개로 빨라지고 있는 연예계에서도 기업과 마찬가지고 전문적인 위기관리 시스템이 필요하다. 위기관리 매뉴얼 하나 없이 이슈에 대해 침묵으로 일관하고 소극적으로 대응하여 또 다른 루머를 양상 내는 일은 없어야 한다. 따라서 스타의 위치나 사회적 상황, 시장 환경 등에 따라 차별적으로 위기 대응 매뉴얼을 만들어야 한다. 예컨대, 탑 스타 이병헌은 위기상황 때마다 아날로그적 ‘손 글씨 편지’로 대중의 감성을 자극하여 순조롭게 위기를 극복한 케이스다. 일회성 위기관리 프로그램이 아니라 효과가 검증된 위기관리 전략을 지속적으로 활용함으로써 진정성, 일관성을 확보할 수 있었다. 모범으로 삼아도 좋을 사례이지만 이병헌의 위기관리 전략은 이병헌의 사회적 위치나 사회적 상황 등 복합적인 요소를 토대로 차별적으로 수립된 것임을 주의하고 다른 스타에게는 그에 맞는 차별적 위기관리 매뉴얼을 수립해야 한다.

(2)사전 예방적 위기관리 프로그램의 개발

현재 한국 연예계는 이슈가 터지고 나서야 수습하는데 급급한 실정이다. 하지만 온라인 미디어와 소셜 미디어의 발달로 그 어느 때보다 이슈의 확산 속도가 빨라지면서 사후적 위기관리 프로그램은 이슈 통제 능력에 한계가 있는 것이 사실이다. 따라서 사후적 위기관리 프로그램을 보완할 수 있는 예방 백신 차원의 위기관리 프로그램의 중요성이 부각되는 시점이다. 사전 위기관리 프로그램의 구체적인 계획으로는 위기로 이어질 수 있는 이슈들을 사전에 연예인 스스로가 차단 할 수 있도록 도와주는 교육 프로그램을 실시하는 것이다. 사생활 통제, 인터뷰 자세 교육 등의 교육이 이뤄지고 있긴 하지만 연예산업이 발전함에 따라 그에 상응하는 위기의 수위도 높아지고 있는 상황에서 그다지 효과적인 전략이 아니라고 생각한다. 따라서 좀 더 발전되고 전문적인 사전 예방적 위기관리 프로그램을 구축하여 주기적으로 연예인을 교육시킴으로써 스타 스스로 사전에 위기관리를 할 수 있도록, 위기 발생 가능성을 평상시에 낮출 수 있도록 해야 한다. 또한 연예기획사와 스타가 스스로 트위터, 페이스북 등 소셜미디어의 모니터링도 꾸준히 해서 사전에 위기를 예측, 예방 할 수 있다.

5.결론

혹자는 새로운 위기관리 프로그램을 개발 할 필요 없이 기업의 기존 위기관리 프로그램을 연예계에 도입하면 되지 않느냐고 한다. 하지만 위기관리 측면에서 연예인은 기업과 구별되는 특성 때문에 기업의 위기관리 프로그램을 그대로 적용시킬 수 없다. 연예인은 ‘자신’, 즉 한명의 사람이 유일한 생산자이지만 대부분의 기업은 많은 생산자들이 존재 한다. 그래서 기업은 어느 정도의 손해는 감수할 수 있으며 한 번의 위기로 무너지는 경우는 드물다. 하지만 연예인의 경우 단 한 번의 위기에 무너질 수 있으며 따라서 위기관리의 목표는 ‘살아남는 것’이 된다. 기업처럼 장기적으로 많은 이해관계자들과 상호 호의적 관계를 맺기 위한 위기관리 전략은 연예계에서 와 닿지 않는다. 연예계에선 전성기 때만 못해도 어떻게든 이 위기에서 살아남아서 연예인으로 연명해 나갈 수 있느냐가 현실적 고민이다. 즉, 두 집단은 위기관리에 대한 기준과 목표가 다르기 때문에 예컨대 기업에 최적화된 위기관리 프로그램을 연예계에 적용했다가는 회복할 수 없는 치명적인 손해를 입는 등 비효율적인 결과를 초래할 수 있다. 따라서 연예계의 특성에 최적화된 전문적 위기관리 프로그램을 개발해서 앞으로의 수많은 위기에 대처해 나가야 한다.

References

[1]   “꼬리무는 연예인 물의, 위기관리책은 제자리”,2010.07.19, 헤럴드생생뉴스

[2]   정용민의 위기커뮤니케이션 블로그 http://www.jameschung.kr/2088

Coca Cola: Hello Happiness

In 2014, Coca Cola launched the campaign titled ‘Hello Happiness’, part of the series ‘Where Will Happiness Strike Next’, aimed to ‘delivering surprise and delight through unexpected moments, happiness and Coca-Cola’ (Coca Cola, 2014). The campaign video (as shown above) features special phone booths in Dubai’s labour camps which accepts Coca Cola bottle caps instead of coins to make calls. The bottle caps would allow migrant workers to make 3 minute long overseas calls to their families back home at a cheaper rate of just 54 cents for a bottle of Coca Cola.

Coca Cola designed this campaign to establish a good image for themselves by associating the idea of ‘happiness’ with Coca Cola, and to expand its consumer base to developing regions where the market for Coca Cola is small.

In this campaign, Coca Cola accurately met its consumers’ needs by looking at what the migrant workers in Dubai really needed most, which was the need to keep in touch with their family through phone calls. The company considered various cultural variables before implementing the campaign, such as the plight and working conditions of the workers in Dubai, and how they spend long periods of time away from their family.

Coca Cola was also able to capitalize on the recent trend of a global shift on interest towards human rights and labourers from third world countries, gaining much attention for their campaign. By highlighting the plight of this marginalized group of labourers, Coca Cola was able to generate interest and support for their campaign, as well as establish a more positive brand image for themselves. The campaign video was also posted on popular video-sharing website, Youtube, where it garnered a total of 3.5 million views, and more than 17,000 likes. Viewers could easily watch the video and proceed to share it with their friends online and on social media, easily increasing the spread of the campaign and its message.

However, Coca Cola was also criticized for exploiting foreign labourers just to sell their product. They were accused of forcing the labourers to purchase a bottle of Coke just for a phone call home, which costs about one-tenth of their daily wage. Additionally, Coca Cola took down the machines after a month of their installation. This shows that Coca Cola was simply using these workers as a marketing and PR stunt, and were not genuinely concerned for their welfare in the first place.

Despite the criticism, Coca Cola managed to bring their key message across with this campaign, which was that ‘happiness is a bottle of Coca Cola’, and enabled many to associate the idea of happiness with Coca Cola.

스타벅스의 인터랙티브 미디어 / The Interactive Media in Starbucks

 

인터랙티브 미디어는 현재 매우 빠르고 다양하게 발전해왔다. 하지만 이러한 인터랙티브 미디어를 다른 산업에 도입한다는 것은 어떠한 점에서 큰 도전이다. 스타벅스의 경우, 인터랙티브 미디어를 자신의 사업에 발 빠르게 도입하면서 큰 성공을 거뒀다.

스타벅스는 1998년 국내에 들어온 이후로 국내의 커피 소비 시장을 선도하고 있는 1위 기업이다. 비슷한 시기에 들어와 비슷한 가격대를 유지하고 있는 커피빈(the coffee bean & tea reaf)은 초기에는 스타벅스와 함께 에스프레소 커피전문점 시장에서 스타벅스와 양대산맥으로 거론 될 만큼 시장을 양분화 했지만 시장 변화에 맞추지 못한 마케팅의 부재, 타 브랜드 진입 등의 요인으로 매장 수가 줄었으나, 스타벅스는 항상 업계 선두를 차지하고 있다. 달리 말하자면, 스타벅스가 견고히 있을 수 있던 것은 시장 변화에 대해 끊임없이 변화했기 떄문이다. 즉, 새로운 시스템 혹은 서비스를 국내에서 최초로 도입하여 소비자층을 단단하게 만드는 것이다. 인터랙티브 미디어 도입 역시 변화하는 시장에 대해 대처한 것이다. 스타벅스가 인터랙티브 미디어를 도입하면서 크게 한 활동은 두 가지로 나눠 볼 수 있다. 하나는 인터랙티브 미디어를 위한 환경 조성과 다른 하나는 인터랙티브 미디어를 사용한 구매 촉진이다.

먼저, 인터랙티브 미디어를 위한 환경 조성이라는 측면으로는 전 매장 무료 와이파이 설치가 있다. 최근 스마트폰을 비롯한 다양한 멀티미디어 기기들의 휴대성이 높아지면서, 인터넷을 사용하게 될 일도 많아졌다. 이러한 변화에 따라 스타벅스는 전 매장에 와이파이를 설치하여 사용자들이 모두 무료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하였다.

인터랙티브 미디어를 위한 환경이 조성된 후에, 스타벅스는 인터랙티브 미디어를 사용하여 소비자들에게 편의성을 제공하였다. 대표적인 예시는 스타벅스 어플리케이션이다. 스타벅스 어플리케이션은 애플 앱스토어나 구글 앱스토어에서 쉽게 다운 받을 수 있으며, 스마트폰에서 자신의 회원 등급과 커스텀, 근처 스타벅스 매장, 쿠폰 등을 확인할 수 있다.

이러한 인터랙티브 미디어를 위한 환경이 조성되고, 인터랙티브 미디어를 사용할 수 있는 어플리케이션을 도입한 후에 가장 두드러지는 점은 ‘사이렌 오더’라는 주문 방식을 도입했다는 것이다. 스타벅스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자신이 원하는 음료를 주문하면 가까운 매장에서 주문이 된다. 소비자는 간단하게 주문한 후 곧 스타벅스 매장에 들어가서 자신이 주문한 음료를 받아서 빠르게 마시면 된다.

YouTube 동영상 ‘스타벅스 사이렌 오더 – Siren Order’

하루가 다르게 발전해나가고 있는 인터랙티브 미디어 산업에서 이를 빠르게 도입한 스타벅스의 사례는 매우 획기적이면서도, 변화하는 환경에 빠르게 적응한 사례다. 결과적으로 왜 스타벅스가 업계 선두주자에 있는지를 보여주는 하나의 지표라고 할 수 있겠다.

Reference

이한진(2013),  「커피전문점의 선택속성별 중요도와 만족도 연구 – 국내브랜드 프랜차이즈 커피전문점과 해외브랜드 프랜차이즈 커피전문점을 중심으로」,세종대학교 산업대학원 석사학위논문

Abrinq Foundation Save the children

We all wear clothes in this 21st century, however, have you ever thought of who made your high quality fashionable clothes? Well, some of you might know but many people are not aware of this particular issue.

Abrinq foundation is a private non-profit organization whose mission is to promote the defense of rights and citizenship of children and adolescents. This foundation united with Save the Children in Brazil. These two organizations objective was to raise awareness to show how child labour often closely relates to the fashion market. This campaign was not only to raise awareness but also letting people know that high quality fashion is attractive however behind all these fashionable clothes, there are under-aged children trapped to create all the pretty clothes.

This campaign used many media channels to make it viral. Firstly, this campaign began in print and then continued to social networks, direct marketing to journalists and bloggers from the fashion universe and activations at fashion shows.

Moreover, the organization invited some of Brazil’s leading fashion photographers, professional models to participate in the campaign.

Child labour in fashion industry is one of the most important social issue in today’s society because there were numerous scandals involving child labour in its production line. However, according to the agency, this campaign was not to create hatred towards fashion industries but was designed to spread the message that “child labour crimes are closer to the consumer than they might think.”

Moreover, in this campaign each print ad picture that could be used for any advertising piece fashion brand, but when we see the detail of the picture, we can notice a hidden child trapped inside the clothing. All these print ad pictures include one short sentence. For example, “A sweater shouldn’t cost a childhood”. One special feature of these print ads were the clothes were all black and white striped which represented as jail bars symbolising that children are trapped in fashion industries to manufacture clothes.


(A Dress shouldn’t cost a childhood)        (A pullover shouldn’t cost a childhood)

In addition, not only these print ads were part of the campaign but also other media channels such as social networking services were used to increase awareness of this campaign. #Dress4Good was the hashtag, and the public was encouraged to post “positive fashion-forward images” on Instagram and twitter.

However, personally I think this campaign for child labour is creative using professionals but on the other hand, it did not really give a big impact on many people. When I searched for hashtags for this campaign, there weren’t as many impact as I thought. For example, there were only a few who participated in the social networking media channels.

Even though there were not enough participation from the public, the various print advertisements were shared all over the internet and the actual clothes worn in the print ads were showcased at famous fashion shows. To conclude, I think it would have been better if this campaign had a video campaign for it because just print ads were not effective enough.

Reference

 

‘Destroying Nature Is Destroying Life’

In the beginning of 2016, everybody on earth should have heard about environmental issues like global warming, environmental destruction or endangered species. Indeed, these questions concern every human being, and so everybody should feel concerned about these issues. Thus, to raise awareness about one of these particular issues, the German environmental advocacy group, Robin Wood, launched a new awareness campaign about the destruction of animals’ habitats. This campaign is called ‘Destroying Nature Is Destroying Life’ and was made by the advertising agency Grabarz & Partner. The visual of this campaign is composed by three different pictures representing animal silhouettes fused with the ecosystem they live in. Unfortunately, this ecosystem is destroyed by various human actions.

destroy-nature-destroying-life-01

The first picture represents a polar bear and its natural environment, the pack ice, being destroyed by different human industrial activities like refinery or drilling.

 

destroy-nature-destroying-life-03

The second picture represents a monkey. The fire caused by the deforestation destroys its natural environment, the jungle. Once again, the human actions cause the destruction of a natural environment and thus destroy lives.

 

destroy-nature-destroying-life-02

And finally, the last picture represents a deer and its natural environment, the forest. Once again, this natural environment is destroyed by human actions. This time, it is because of intense agriculture.

The Thai designer, Surachai Puthikulangkura, made these three pictures. This campaign aims to denounce the various human industrial actions that destroy the environment. Without using any violent or shocking pictures, as it was the case during the previous campaigns about this issue, this campaign uses artistic visuals to show that the environment is directly linked with the animals that live in. Thus, if you destroy the environment, you also destroy the life of animals living in this environment. And so this campaign directly points finger to humans who are the cause of these environmental destructions.

Of course, the question about preserving animals’ habitats is not a new one. It is an issue that was asked several times in the past. But thanks to this beautiful campaign, the question goes back on the radar. Indeed, this campaign has been largely shared on the Internet and especially on social medias like Facebook or Instagram. This leads to a broad attention and raises people awareness.

Now, the only remaining question is to know if this campaign will be effective enough to make things change. Does the question about environmental destructions will be more taken in consideration by people? Do people will be more engaged in that cause? Do the deforestation, drilling, extended agriculture and other excessive industrial activities will decrease in the future?

As many questions we need to take into consideration in a near future. But one thing is sure, is that if humans do not change their behaviors, then the nature we like to admire will disappear, and the lives that live in will be gone with it.

Art Marketing

“Kannst du nicht allen gefallen durch deine Tat und dein Kunstwerk, mach’ es wenigen recht; vielen gefallen ist schlimm,”

Gustav Klimt - Nuda Veritas.jpeg

 

This is a quote from Schiller, inscribed on the top of the painting of Gustav Klimt – Nuda Veritas. Roughly translated, it means “If you can’t please everybody with your deeds and your art please only few. To please many is bad.”

This shows a distinctive notion of modern art, showing self-confidence and independence of art itself from the audience. In this aspect, art has been the antipode of advertisement, trying to reach and please as many as possible. Art has been intertwined with elitism that the exclusives held high and unique value, which is why, it is in lesser extent that public engaged in art daily and casually. Advertisement, on the contrary, resides deeply in our daily lives, almost bugging us. Nevertheless, both share a significant similarity – Appeal. Whether logically or emotionally, advertising and art try to get our attention and appeal to us. The expected effects are different, by nature, that the appeal from art does not require you to buy or do something, at least not bluntly. Therefore, our perception works differently with art that we do not prepare to clarify or filter the appeals or information we get.

For the flood of advertising, we have built efficient and automatic filter for it. We guard against undesirable information and also emotional approaches. That is why advertising industry had to find another way to appeal to people – Art. Art marketing became a ‘thing’, since there are few merits it offers. First, Art marketing takes in place by the collaboration with artists or foundations, which can help the company’s reputation. It is not making Jay-Z or Michael Jordan even richer by commercials, but it is mostly introducing and drawing the artists that you didn’t even know. It gives the impression that the company cares about the cultural trends or art industry. Simply, advertising could turn ‘artsy’ from mercenary. Whereas delivering messages from the company, art marketing can also function as CSR. Moreover, as I stated above, using the form of art, advertising can approach to people easily. Not all of us would be the ardent advocates of art industry or consumption, but at least we don’t despise it. Advertising is probably the most despised form of media creation, for its persistent features. By melted in the form of art, the key message that ‘buy me’ or ‘love us’ would not seem repugnant. People also would not be so reluctant to spare some time for this artsy approach, since they also have whether pretentious or genuine desires to consume art. Lastly, now we need to know that just by delivering messages, real marketing does not work. We have to devise a method to have somewhat more that ‘key message’. It could be just emotions like a sense of engagement, astonishment, shock and many others. It is different from ‘sadvertising’ or ‘fear appeal’ which mainly are focused using emotions as a means. It is that these emotions being the key message or rather ‘images’ themselves. Now we know that our perception is selective, and even the persuasion works more efficiently. When we get the predispositions, in fact, they do not entirely result from logical and mathematical algorithm, rather from images, beliefs and ‘personalised facts’. The message in a form of ’emotion’ or ‘art’ itself, therefore, can sufficiently work in market.

  1. 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1&oid=214&aid=0000607305
  2. Johann Christoph Friedrich von Schiller

게임화(Gamification) 전략을 이용한 광고 Advertisement Using Gamification

게임화(Gamification) 전략을 이용한 광고 Advertisement Using Gamification

오늘날 매일매일 셀수도 없이 많은 광고들이 쏟아져 나옵니다. 그 수많은 광고의 바다 속에서 소비자들에게 그들의 궁극적인 목적을 달성하는 광고는 얼마나 될까요? 그런데 최근에는 그들의 궁극적인 의도를 숨긴채 재미와 오락적인 요소를 내세우는 광고가 점점 각광받고 있는 추세입니다. 이러한 광고들은 만연해진 브랜드 간의 경쟁 속에서 소비자들에게 새로운 경험을 제공함으로써 그들의 관심을 사로잡습니다. 바로 게임화(Gamification)라는 기법을 사용하는데요. 게임화(Gamification)란 게임이 아닌 소비자 대상 웹이나 모바일 사이트, 캠페인, 어플리케이션 등에 그 사용을 권장하기 위해 게임의 기법과 요소들을 적용하는 것을 뜻합니다. 즉, 참여를 이끌어내기 위해 컨텐츠에 게임적인 요소들을 결합시키는 것이지요. 게임은 사람들의 흥미를 유발시키고 몰입도를 높여 오랫동안 게임을 즐기도록 하기 위한 목적을 가지고 있습니다. 기술의 발달로 상품의 질적인 차이가 점점 줄고 있는 요즘, 브랜드의 이미지를 구축하는 것이 더욱 중요해졌고 따라서 소비자들의 관심과 흥미를 사로잡는 광고가 인기를 끌고 있습니다.

1.png

사람들이 게임을 오랫동안 즐길 수 있는 이유가 무엇일까요? 바로 ‘몰입(Flow)’ 때문인데요. 사람들은 시간이 흐를 수록 특정한 정도의 어려움(Difficulty)이 존재할 때에 몰입을 한다고 합니다. 너무 쉽거나 어려우면 사람들은 스트레스(Stress), 불안(Anxiety) 또는 지루함(Boredom)을 느껴 몰입의 정도가 떨어집니다. 따라서 적당한 정도의 챌린지를 통해 사람들의 몰입을 유지하는 방법이 광고에서 종종 활용되는 것입니다.

게임화를 작동시키는 요소들에는 여러가지가 있는데요. 도전과제(Challenge)가 주어지면 사람들을 그것을 해결에 나가는 과정에서 특정한 정도의 어려움을 겪고 그에 따른 몰입과 완수 후에는 물질적 또는 감정적인 보상(Rewards)을 얻게 됩니다. 그리고 순위판(Leader boards)을 통해 사람들로 하여금 자신의 점수를 확인하고 경쟁심을 유발하도록 합니다.

삼성전자 ‘Gold Rush’

위의 광고는 스마트폰을 소지한 우리나라 국민을 타겟으로 하여 런던 올림픽 기간동안 진행했던 삼성전자의 캠페인 입니다. ‘골드러시’ 어플리케이션을 다운로드하여 도시 곳곳에 있는 QR코드를 찾아 스캔하면 스마트 메달이 지급되고, 그 메달의 개수에 따라 순위가 매겨집니다. 메달 순위에 따라 삼성전자의 제품 1천대(자동차)를 차등으로 보상했고 상품을 받으려는 소비자들의 많은 참여를 유발했습니다. 또한 QR코드를 촬영하는 데에 있어 ‘기울여서 찍기’, ‘뒤집어서 찍기’ 등 다양한 경험을 제공하므로써 난이도를 달리해 사람들의 흥미와 도전을 더욱 이끌어냈습니다.

Nestle Contrex ‘Ma Contrexperience’

프랑스의 생수회사인 Nestle Contrex도 이러한 게임화 전략을 이용했습니다. 보틀의 모습을 여성의 몸으로 표현하며 다이어트 생수라는 이미지로 여성을 타게팅해왔습니다. 위의 광고는 Nestle Contrex가 자전거와 유사한 운동 기구를 설치하여 사람들로 하여금 자가발전을 통해 불빛으로 사람의 형상을 만들어 내도록한 광고입니다. 잠재적인 소비자들이 과업을 수행하면(자전거 페달을 돌리면) 멋진 남성이 춤을 추는 형상이 나온다는 것을 통해 흥미와 도전을 유발시킵니다. 페달을 돌리면 자전거로부터 이어진 전선에 점점 불이 들어옴으로써 형상을 만드는 데에 자신이 일조하고 있다는 정신적인 보상 또한 주어지지요. 이외에도 이렇게 시각적이고 창의적인 Nestle Comtrex의 광고가 사람들의 많은 호응을 이끌어낸 이유는 바로 ‘다이어트 생수’라는 브랜드의 이미지와 자전거 페달을 밟으며 운동을 한다는 소비자의 행동을 통해 전달하고자 하는 바가 일관성있었기 때문입니다. 사람들의 감각을 자극하여 흥미를 이끌어내는 것도 좋지만 이렇게 인과관계를 이용한 스토리를 광고에 활용한다면 소비자들에게 더욱 설득력있게 다가갈 수 있을 것 같습니다.

이렇게 게임적인 요소들을 활용한 것 외에도 사람들에게 직접적으로 게임을 체험할 수 있게 함으로써 마케팅하는 사례들도 있습니다. 아래의 영상에서 현대 자동차는 세계에서 가장 유명한 장소 중 하나라고 손꼽히는 타임스퀘어에서 쌍방향의 레이싱 게임을 할 수 있도록 했는데요. 뉴욕 한복판의 대형 광고 스크린에서 사람들에게 현대 자동차의 ‘벨로스터’ 모델로 레이싱 게임을 할 수 있는 특별한 경험을 제공했습니다.

Hyundai ‘Veloster Racing Game in Time Square’

 

Coca Cola ‘Unlock the 007 in You’

 

영화 007을 본 사람이라면 한 번쯤은 꿈꿔봤을 제임스 본드의 모험을 경험하게 해준 코카콜라 제로의 프로모션입니다. 영화 ‘007 Skyfall’을 예매하는 일반인들을 대상으로 ‘당신 안에 숨겨진 007을 깨워라!’라는 문구와 함께 70초 간의 미션을 제공합니다. 의문을 가질 새도 없이 70초라는 제한시간이 흘러가고 사람들은 주어진 도전과제를 수행하기 위해 특정한 장소로 향합니다. 악당을 물리치는 것은 아니지만 기차역에서 온갖 장애물들을 피하며 미션을 성공하기 위해 몰입하는 사람들의 모습이 흥미롭지요!

이외에도 우리가 일상적으로 이용하는 상점에서도 게임화 전략이 많이 이용됩니다. 스타벅스에서 카드를 등록하고 일정한 수의 음료를 마시면 별과 함께 등급(Level)이 올라가는 것처럼 쿠폰도 하나의 게임화 전략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위의 사례들처럼 적절한 스토리와 함께 게임화의 요소들을 조화시킨다면 브랜드에 대한 호의적인 태도를 얻음과 동시에 소비자들에게도 잊지 못할 흥미로운 경험들을 제공할 수 있을 것 같습니다.